해시 생성기

텍스트나 파일을 MD5, SHA1, SHA256, SHA512 해시로 변환합니다. 무결성 검증과 체크섬 생성에 활용하세요.

🔒 보안 주의사항

MD5와 SHA1은 보안상 취약하므로 중요한 용도에는 SHA256 이상을 사용하세요. 모든 처리는 브라우저에서 수행되며 서버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습니다.

📝 입력 방법 선택

📁

파일을 클릭하거나 드래그하여 업로드하세요

지원 형식: 모든 파일 (최대 100MB)

🔐 해시 결과

텍스트를 입력하거나 파일을 업로드하면 해시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.

🔍 해시 검증

기존 해시값과 비교하여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.

해시 알고리즘 설명

🔴 MD5

  • 길이: 128비트 (32자)
  • 속도: 매우 빠름
  • 보안: 취약함 (사용 비권장)
  • 용도: 파일 무결성 확인, 중복 검사
  • 특징: 충돌 공격에 취약

🟡 SHA-1

  • 길이: 160비트 (40자)
  • 속도: 빠름
  • 보안: 취약함 (사용 비권장)
  • 용도: 기존 시스템 호환성
  • 특징: 2017년 충돌 사례 발견

🟢 SHA-256

  • 길이: 256비트 (64자)
  • 속도: 보통
  • 보안: 안전함 (권장)
  • 용도: 비트코인, 인증서, 보안
  • 특징: 현재 가장 널리 사용

🔵 SHA-512

  • 길이: 512비트 (128자)
  • 속도: 느림
  • 보안: 매우 안전함
  • 용도: 고보안 환경, 큰 파일
  • 특징: 최고 수준의 보안

해시 함수 활용 사례

🛠️ 실제 활용 예시

📁 파일 무결성 검증

다운로드한 파일이 원본과 동일한지 해시값으로 확인

소프트웨어 배포, 백업 검증

🔐 비밀번호 저장

평문 비밀번호 대신 해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

웹사이트, 애플리케이션 보안

🏦 블록체인

거래 정보의 무결성과 체인 연결성 보장

비트코인, 이더리움 등

📜 디지털 서명

문서의 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전자서명

법적 문서, 인증서

🎯 중복 제거

같은 내용의 파일이나 데이터를 식별

클라우드 스토리지, 백업

🔒 캐시 키

웹사이트나 앱에서 캐시 키로 사용

성능 최적화, CDN

해시 함수의 특성

해시 함수의 핵심 특성

  • 결정성: 같은 입력은 항상 같은 해시값 생성
  • 고정 길이: 입력 크기와 관계없이 일정한 길이의 출력
  • 일방향성: 해시값으로부터 원본 복구 불가능
  • 눈사태 효과: 작은 입력 변화로 완전히 다른 해시값 생성
  • 충돌 저항성: 같은 해시값을 가지는 다른 입력 찾기 어려움

보안 강도 비교

알고리즘 해시 길이 보안 상태 권장 여부
MD5 128비트 취약
SHA-1 160비트 위험 ⚠️
SHA-256 256비트 안전
SHA-512 512비트 매우 안전

해시 도구 사용법

파일 무결성 검증 방법

  1. 원본 파일의 해시값을 미리 기록해둡니다
  2. 다운로드 또는 전송 후 파일의 해시를 다시 생성합니다
  3. 두 해시값이 일치하면 파일이 손상되지 않았음을 확인
  4. 값이 다르면 파일이 손상되었거나 변조된 것입니다

비밀번호 해싱 모범사례

  • 솔트(Salt) 사용: 같은 비밀번호도 다른 해시값 생성
  • 강력한 알고리즘: SHA-256 이상 사용
  • 반복 해싱: 여러 번 해싱하여 보안 강화
  • 전용 함수: bcrypt, scrypt, Argon2 사용 권장

주의: 이 도구는 교육 및 일반적인 용도로 제공됩니다. 중요한 보안 업무에는 검증된 암호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.